바이낸스 지갑 주소를 확인하려면, 바이낸스 계정에 로그인한 후 ‘지갑’ 메뉴에서 원하는 암호화폐를 선택하고 ‘입금’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때 사용자는 반드시 입금하고자 하는 코인의 종류와 네트워크를 정확히 선택해야 하며, 선택 즉시 해당 지갑의 고유 입금 주소가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USDT를 선택할 경우 ERC-20, TRC-20, BEP-20 등 다양한 네트워크가 표시되며, 각 네트워크마다 지갑 주소가 다릅니다. 네트워크 선택이 잘못되면 자산이 소실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송 측 거래소나 지갑과 같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입금 주소 확인 절차 요약
1. 바이낸스 로그인 후, 상단 메뉴에서 ‘지갑’ → ‘입금’을 클릭합니다.
2. 입금하려는 암호화폐(예: BTC, ETH, USDT 등)를 선택합니다.
3. 네트워크 선택 화면에서 전송하려는 쪽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일치하는 것을 선택합니다.
4. 주소가 자동으로 생성되며, 이를 복사하거나 QR 코드로 스캔할 수 있습니다.
5. 리플(XRP), 스텔라(XLM), ATOM 등 일부 코인은 주소 외에 태그(Memo)도 제공되며, 반드시 함께 입력해야 합니다.
지갑 주소 사용 시 주의할 점
바이낸스 지갑 주소를 사용할 때는 항상 코인 종류와 네트워크가 전송 측과 일치하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에서 바이낸스로 USDT를 보낼 경우, 업비트가 지원하는 네트워크가 ERC-20이라면 바이낸스에서도 동일한 ERC-20 네트워크의 주소를 사용해야 합니다. 잘못된 네트워크 선택은 자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복구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소를 복사할 때 앞뒤 공백이나 문자 누락이 없는지 확인하고, 실수 방지를 위해 소액 테스트 전송을 먼저 해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태그(Memo)가 필요한 코인의 주소 사용법
리플(XRP), 스텔라(XLM), 루멘, ATOM 등 일부 코인은 동일한 입금 주소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기 때문에 추가 식별자인 태그(Memo 또는 Destination Tag) 입력이 필수입니다. 이 태그는 입금 주소 아래에 별도로 표기되며, 송금 시 반드시 입력해야 정확한 계정으로 입금 처리가 됩니다. 만약 태그를 누락하거나 잘못 입력하면, 입금이 지연되거나 자산이 입금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고객센터를 통한 복구 요청이 필요합니다. 태그가 표시된 코인을 보낼 때는 반드시 주소와 태그를 함께 입력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2025.05.11 - [생활정보] - 코인원 fds 출금제한 걸렸을때 해결하는 방법 알아보기
2025.05.11 - [생활정보] - 코인원 거래소 옮기기 및 코인원에서 출금하는 방법 알아보기
2025.05.04 - [고객편리] - 업비트 락스크린 설정방법 알아보기
2025.04.14 - [고객편리] - 빗썸 계좌등록방법 바로 알아보기
2025.05.07 - [고객편리] - 업비트 해외거래소 보내는법 알아보기
2025.05.09 - [고객편리] - 업비트 수수료 얼마나 들까
'고객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낸스 지갑주소 확인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5.05.18 |
---|---|
업비트 수수료 얼마나 들까 (0) | 2025.05.17 |
바이낸스 지갑 수수료 체인별 수수료 알아보기 (0) | 2025.05.17 |
바이낸스 청산 되면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5.05.17 |
바이낸스 출금 한도 얼마까지일까 알아보기 (0)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