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에서 말하는 ‘청산(Liquidation)’은 주로 선물(Futures) 거래나 마진(Margin) 거래에서 사용되며, 사용자의 계좌 유지율이 일정 수준 아래로 떨어졌을 때 시스템이 자동으로 포지션을 강제 종료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청산은 투자자가 빌린 자금에 대해 더 이상 손실을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며,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거래에서는 특히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에 의해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산이 일어나면 보유한 증거금의 대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청산 수수료도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산 발생 원인과 주요 조건
청산은 사용자가 보유한 포지션이 일정 손실 구간에 도달해 유지 마진(Maintenance Margin)을 충족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10배 레버리지로 1 BTC를 매수했을 경우, 가격이 약 10% 하락하면 포지션 전체가 청산될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는 실시간으로 청산 가격(Liquidation Price)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계좌 가치가 청산 가격에 도달할 경우 자동으로 포지션을 종료합니다. 따라서 고배율 레버리지를 사용할수록 작은 가격 변화에도 청산 위험이 높아집니다.
청산 방지를 위한 전략
청산을 방지하려면 포지션을 개설할 때 지나친 레버리지 사용을 피하고, 충분한 증거금(마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격이 청산 가격에 가까워질 경우 추가 자금을 계좌에 입금하거나 부분 청산을 통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는 사용자가 청산 위기에 처했을 때 경고 알림을 제공하며, '자동 마진 보충 기능'을 활성화해두면 미리 지정된 지갑에서 자금이 자동 이동되어 청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 시 손절(Stop-Loss) 설정도 필수 전략 중 하나입니다.
청산 후 계정에 미치는 영향
청산이 발생하면 해당 포지션은 강제로 종료되며, 잔여 마진이 있을 경우 일부는 계좌에 남게 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는 전체 마진 또는 그 이상을 손실할 수 있으며, 극단적 상황에서는 추가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바이낸스의 보험 펀드 또는 자동 디레버리징(ADL) 시스템이 작동하게 됩니다. 반복적인 청산은 계정 신용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선물 거래 제한 또는 위험 등급 조정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거래를 원한다면 청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2025.05.11 - [생활정보] - 코인원 fds 출금제한 걸렸을때 해결하는 방법 알아보기
2025.05.11 - [생활정보] - 코인원 거래소 옮기기 및 코인원에서 출금하는 방법 알아보기
2025.05.04 - [고객편리] - 업비트 락스크린 설정방법 알아보기
2025.04.14 - [고객편리] - 빗썸 계좌등록방법 바로 알아보기
2025.05.07 - [고객편리] - 업비트 해외거래소 보내는법 알아보기
2025.05.09 - [고객편리] - 업비트 수수료 얼마나 들까
'고객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낸스 지갑 주소 확인하는 방법 쉽게 알아보기 (0) | 2025.05.17 |
---|---|
바이낸스 지갑 수수료 체인별 수수료 알아보기 (0) | 2025.05.17 |
바이낸스 출금 한도 얼마까지일까 알아보기 (0) | 2025.05.17 |
바이낸스 차트 안보임 해결방법 알아보기 (0) | 2025.05.17 |
바이낸스 카드결제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