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선물 거래에서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개념 중 하나가 펀딩비(Funding Fee)입니다. 펀딩비는 무기한 선물 계약(Perpetual Futures)에서 롱(Long)과 숏(Short) 포지션 간 가격 균형을 맞추기 위해 8시간마다 교환되는 수수료이며, 포지션 보유만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바이낸스 선물 펀딩비의 구조와 실전 적용 시 유의사항을 안내합니다.
펀딩비란 무엇인가
펀딩비는 현물 시장과 선물 시장의 가격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포지션 보유자 간 교환되는 금액입니다. 롱 포지션이 많으면 롱이 숏에게 지급하고, 반대의 경우 숏이 롱에게 지급합니다. 이로 인해 과도한 한 방향 포지션 쏠림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이 작동합니다.
펀딩 주기: 하루 3회 (00:00, 08:00, 16:00 UTC) → 한국시간 기준 09:00, 17:00, 01:00
적용 조건: 해당 시점에 포지션을 보유한 사용자에게만 적용
펀딩비 계산 방식
펀딩비는 다음 공식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펀딩비 = 포지션 크기 × 펀딩비율
펀딩비율은 거래쌍마다 실시간으로 변동되며, 바이낸스는 이를 공식 페이지와 선물 거래창 상단에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BTC/USDT 무기한 선물에서 0.01%의 펀딩비율이 적용될 경우, 10,000 USDT 롱 포지션을 보유하면 1 USDT를 지불하거나 수령하게 됩니다.
펀딩비를 활용한 전략과 유의사항
펀딩비는 트레이딩 전략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예:
- 펀딩 수익 전략: 특정 방향의 펀딩비가 장기간 플러스로 유지될 경우, 반대 포지션으로 펀딩 수익 확보
- 포지션 청산 전 회피: 펀딩 시점 직전 포지션 정리로 불필요한 비용 회피
- 롱/숏 스왑 전략: 펀딩비율과 가격 추세를 동시에 고려한 방향 전환
주의할 점은 펀딩 수익만 보고 반대 포지션을 진입했다가 시장 추세에 역행하면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펀딩비는 보조 지표로만 활용하고, 진입 타이밍은 기술적 분석과 병행해야 안전합니다.
2025.05.04 - [고객편리] - 업비트 락스크린 설정방법 알아보기
2025.04.14 - [고객편리] - 빗썸 계좌등록방법 바로 알아보기
2025.05.07 - [고객편리] - 업비트 해외거래소 보내는법 알아보기
2025.05.09 - [고객편리] - 업비트 수수료 얼마나 들까
'고객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낸스 마진 수수료 얼마나 들까 (0) | 2025.05.20 |
---|---|
바이낸스 모바일 사용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5.05.20 |
바이낸스 신원인증 kyc 안될때 해결방법 (0) | 2025.05.19 |
바이낸스 스팟거래 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5.05.19 |
바이낸스 거래소 쓸만할까 알아보기 (0) | 2025.05.19 |